법문듣기
 

마음을 따르는 현실

문사수 2011.11.01 조회 수 31886 추천 수 0

마음을 따르는 현실


부처님이 머무시던 곳에 이상한 새가 한 마리 있었습니다.
몸뚱이는 하나인데 머리가 둘 달린 새였습니다. 가끔 우리가 신문에서 접하는 썀쌍둥이와 흡사한 새입니다.
 한쪽 머리의 이름은 카루다이고, 다른 쪽 머리의 이름은 우바카루다 입니다. 그런데 이 새의 머리가 둘이다 보니 사고방식도 두 가지입니다.
 이들은 몸뚱이 하나에서 공생(共生)하는 처지이므로, 잠을 잘 때 한 쪽이 불침번을 서면 다른 쪽이 잠을 자기로 약속을 했습니다.
 어느 날 우바카루다가 잠을 자고 카루다가 눈을 뜨고 경계를 서고 있는데, 그때 머리 위에서 하늘하늘 떨어지는 꽃잎이 있었습니다. 꽃잎의 향이 너무 좋아 먹으려다 말고 우바카루다를 깨워서 같이 먹을까도 생각하였지만, ‘아, 내가 먹으면 우바카루다도 같이 먹은 게 되지’하면서 혼자 꽃잎을 먹었습니다.
 그런데 조금 있다 우바카루다가 잠에서 깨어 가만히 보니 배속이 그득한 걸 느끼게 되었습니다. 자기는 먹은 적이 없는데 배가 그득한 게 이상해서 카루다에게 물었습니다.
 “카루다야, 내가 자는 동안에 뭘 먹었지 않았냐?”
 “응, 아까 향긋한 꽃잎이 있어서 맛있게 먹었단다.”
 “그런데 왜 날 안 깨우고 너 혼자서 먹었냐?”
 “내가 먹어도 같은 몸뚱이 아니냐? 너는 자고 있기에 깨우지 않았어.”
그러자 우바까루다가,
 “에이, 나쁜 놈! 맛있는 것을 저 혼자만 먹었냐?”
하면서 벌컥 화를 내었습니다.
둘이 다투면서 까루다가 아무리 설명을 해도 우바카루다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잔뜩 삐진 다음부터는 오직 이제나 저제나 복수할 순간만을 노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우바카루다가 불침번을 서게 되었는데, 앉아 있던 나무 위에 꽃잎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꽃잎은 독이 들어있으므로 먹으면 죽는다는 걸 우바카루다는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미 증오심에 사로잡힌 우바카루다는 말 그대로 눈에 뵈는 게 없었습니다. 그래서 ‘카루다, 이 나쁜 놈, 저만 맛있는 거 먹는 그런 이기적인 놈은 죽어야 돼’ 하는 생각에, 독이 든 꽃잎을 덥석 물어서는 꿀꺽 삼켜버렸습니다.
 잠에서 깨어난 카루다가 몸에 이상을 느끼고,
 “우바카루다야, 몸이 좀 이상하다. 배속이 거북하고 사지가 움직여지질 않는다. 아까 나 잠잘 때 뭐 먹었니?”
 우바카루다가 깔깔 웃으면서,
 “이 놈아 그거 봐라. 예전에 맛있는 거 너 혼자 먹었지? 이 나쁜 놈아! 이제 너는 죽었다”
고 하였습니다.  

 자, 그럼 카루다 혼자 죽었을까요? 당연히 우바카루다와 함께였지요. 어차피 한 몸뚱이를 의지하고 있었으니 말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다른 사람이 못 되는 걸 보면서 즐거울 때가 있습니다.
부처님 당시의 쾌락주의자(快樂主義者)들을 짜르바까(charvaka)라고 불렀는데, 즐기는 것이 입에 음식물을 넣고 씹는 것과 같다는데서 유래합니다. 우리가 흔히 남을 흉보거나 욕하는 때 ‘씹는다’는 말을 하는데, 이렇게 막 씹으면 스트레스도 해소되고 기분이 시원한 것 같지만 뒷맛은 역시 씁쓸하기만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내가 나를 죽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증오의 독기(毒氣)가 스스로를 계속 죽이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법우들은 만약 화가 나거나 누굴 죽이고 싶도록 증오심(憎惡心)이 일어나게 되면, 그 즉시 화장실로 달려가서 거울에 비친 자기 얼굴을 쳐다보십시오. 만약 얼굴을 쳐다보게 된다면, 그것은 분명 당신의 얼굴이 아닐 것입니다. 눈은 시뻘겋게 충혈되고, 머리카락은 있는 대로 치솟고, 콧김을 씩씩거리는 게 어쩌면 야차(夜叉)의 얼굴 그것과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사람의 더운 피와 살을 먹고산다는 귀신(鬼神) 말입니다.
 하지만 당신의 본신(本身)은 야차와 같은 귀신이 아니지 않습니까?
나의 참생명 부처님생명이라는 엄연한 사실을 마주하고 있는 당신입니다. 그러니 야차가 아닌 부처님생명으로서의 자신을 잊지 않기 때문에, 참는다는 생각 없이 참게 되지 않겠습니까?

 그렇지만 우리는 너무나 이런 단정(斷定)들에 익숙합니다.
 “저 사람은 나와 아무 인연도 없어.”
 “저 집안이 어떻게 되든 말든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야.”
 이렇게 말입니다.
 문제는 내 귀에 들리고, 내 눈에 보이고 있다는 점이 께름칙합니다.
아예 보이거나 들리지 않으면 그만인데, 그렇지 않기에 우리는 계속적인 관심(關心)을 갖습니다. 왜 그런가 하면 관심이야말로 나의 참생명이 살아가는 현실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결코 남들의 얘기가 아닙니다.
 내가 받아들이고 있다면, 이는 나의 엄연한 현실입니다. 때문에 우바카루다와 같이 자기 삶을 한정시키는 사람에게 삶의 가능성은 더 이상 없습니다. 그저 기다리는 것이라고는 죽음뿐입니다.
그렇지 않겠습니까? 현실의 주인공이여!

                                                                                                                       <문사수법회 여여법사님 법문>






크기변환_P1160862.JPG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방송종료 : 11월 첫째주 대중법회] 불교 조각예술에서 듣는 경전의 세계 - 정신 법사 문사수 2023.02.12 8628
참다운 수행 문사수 2012.03.23 27155
‘운수행각(雲水行脚)하라!’ 문사수 2012.03.13 27249
병든이에게 어진 의원이 된다는 것은 문사수 2012.03.01 24464
천백억 화신千百億化身의 진리 문사수 2012.02.22 28425
인욕은 보시바라밀 문사수 2012.02.14 34178
왜 법회法會인가? 2 문사수 2012.02.06 31416
부처님이시어, 시험에 들게 하여주소서 1 문사수 2012.01.24 27162
법문을 듣는다는 것 문사수 2012.01.14 24508
아침에도 아미타불, 저녁에도 아미타불 문사수 2011.12.26 25387
진정한 행복이란? 문사수 2011.12.19 25924
전법하여 부처님생명 성취합시다 문사수 2011.12.09 24743
마음의 병 문사수 2011.12.03 25191
가피의 뜻 문사수 2011.11.22 59119
차별해야 할 중생은 없다 문사수 2011.11.13 27394
마음을 따르는 현실 문사수 2011.11.01 31886
우리가 사바세계에 온 이유 문사수 2011.10.20 27309
아, 그러나 당신은 행복한 사람 문사수 2011.10.09 33672
조건이 없는 청정한 수행(법장비구의 36번째 원) 문사수 2011.09.28 29982
아는 만큼 보이는 세계(법장비구 31번째 원) 문사수 2011.09.17 28077
보현행원품 문사수 2011.09.10 26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