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를 찾아서
'참나'를 찾아서
나를 배운다는 것은 나를 잊어버리는 것이다
앞에서도 보았듯이,
우리 모두는 이미 구원되어 있고,
본래 완전한 생명을 살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떨치지 못하고,
무언가를 끊임없이 채워가는 것이 인생이라 여기며 살아갑니다.
그럴수록 채워지지 않는 불안감은 더욱 커져가고
급기야는 자신의 부족함을 채워줄
누군가를 애타게 찾아 나섭니다.
우리 모두는 이미 구원되어 있고,
본래 완전한 생명을 살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떨치지 못하고,
무언가를 끊임없이 채워가는 것이 인생이라 여기며 살아갑니다.
그럴수록 채워지지 않는 불안감은 더욱 커져가고
급기야는 자신의 부족함을 채워줄
누군가를 애타게 찾아 나섭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한마디로 스스로의 생명가치에 대한 무지(無知)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잘못된 생명관으로 살아 온 세월의 무게가 너무나 무겁기 때문이죠.
우리 생명이 육신, 즉 몸뚱이라는 착각의 무게로 말미암아 길고도 험난한 어두운 밤길을 헤매고 있는 것입니다.
생명은 이 육신에 한정 지을 수 없습니다.
고작해야 백년도 못 버틸 몸뚱이가 내 생명이라면, 우리는 산다라기 보다 죽어가는 존재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죽은 후의 세계에 대한 약속을 구원이라 생각하고 인생을 허비하기 일쑤입니다.
하지만 불교는 그 육신이 '나의 참생명'이라는 거짓을 단호히 깨뜨립니다.
생멸하는 육신을 근간으로 한 '나'라는 존재감 또한 의지할 바가 아니며, 본래 없음을 일깨웁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찾아야 할 '참 나'는 어디에 있는 걸까?
역설적이게도 여태껏 애지중지했던 그 '나'를 포기하는 것이
'참 나'를 찾는 길이라는 것입니다.
무지와 착각의 소산인 '범부중생(凡夫衆生)으로서의 나'라는 허상을 부정하면
우리의 참생명은 자연 드러날 것입니다.
마치 구름이 걷히면 본래 있던 밝은 달이 온전히 드러나듯이...
다시 말해서 잘못된 생명관으로 살아 온 세월의 무게가 너무나 무겁기 때문이죠.
우리 생명이 육신, 즉 몸뚱이라는 착각의 무게로 말미암아 길고도 험난한 어두운 밤길을 헤매고 있는 것입니다.
생명은 이 육신에 한정 지을 수 없습니다.
고작해야 백년도 못 버틸 몸뚱이가 내 생명이라면, 우리는 산다라기 보다 죽어가는 존재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죽은 후의 세계에 대한 약속을 구원이라 생각하고 인생을 허비하기 일쑤입니다.
하지만 불교는 그 육신이 '나의 참생명'이라는 거짓을 단호히 깨뜨립니다.
생멸하는 육신을 근간으로 한 '나'라는 존재감 또한 의지할 바가 아니며, 본래 없음을 일깨웁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찾아야 할 '참 나'는 어디에 있는 걸까?
역설적이게도 여태껏 애지중지했던 그 '나'를 포기하는 것이
'참 나'를 찾는 길이라는 것입니다.
무지와 착각의 소산인 '범부중생(凡夫衆生)으로서의 나'라는 허상을 부정하면
우리의 참생명은 자연 드러날 것입니다.
마치 구름이 걷히면 본래 있던 밝은 달이 온전히 드러나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