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업業이란?

문사수 2009.12.19 조회 수 31216 추천 수 0
본인本人의 업業은...

한 직장인이 옆자리의 여직원이 읽고 있던 시집(詩集)을 빌려서 읽다가, 새삼 자신에게 문학적인 기질이 잠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러자 그 날로 시집을 사서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부인에게 이런 정황을 얘기하였더니 ‘꼴값하고 있네.’하면서 코웃음을 쳤다고 합니다. 한껏 부푼 기분에 찬물을 끼얹어도 유분수입니다. 그런 말을 하는 부인이 어찌나 미운지 순간적이나마 죽이고 싶을 만큼 화가 치밀었다고 합니다.
비록 부부 사이일지라도 각자마다 의지(依支)하는 바가 다르다는 증거입니다.
사실 출세를 지향하거나 돈을 모으려는 욕구의 밑바탕에는, 자신의 생명이 그런 것들에 의하여 보장되리라는 기대가 있기 마련입니다. 그것이 정신적이든 물질적이든 간에 무엇인가를 추구하고서, 그 이루어 놓은 성과에 의지하고 살겠다는 전제가 자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문제를 마주하고 해답을 쥐고 있는 당사자를, 우리는 예전부터 본인(本人)이라고 불러왔습니다. 말 그대로 근본(根本)의 사람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진짜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물을 마시고 밥을 먹으며 집에 살고 있는 그 사람이 진정 본인인가 하는 것입니다.
혹시 일상화된 어떤 모습이나 남들에게 평가받을 대상으로만 존재한다면, 자기 삶의 본인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느낌이 들기에 그렇습니다.
삶의 근본으로부터 살아가지 않는 한, 그것이 자식농사든 사회적인 업적이든 결코 본인의 것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내 것이 될 수 없는데도 계속 미련을 두려고 한다면, 이보다 가당치 않은 태도가 어디 있겠습니까?
과연 지금 우리는 자신 있게 본인의 인생을 살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는가?
흔히 주변인(周邊人)이라고 하듯이, 세상살이의 구경꾼으로 남아 있지 않으려 한다면 솔직하게 자신을 돌아볼 일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의 생명력(生命力)에 대하여, 업(業)이라는 가르침을 통해 일깨워주고 계십니다. ‘업에 충실하라!’고 말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네 업이 잘못 되었다’거나, ‘내 업은 뒤틀려 있다’는 식으로 쓰이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유독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변명거리인양 입에 오르내림을 목격합니다. 그래서 업을 바꾸어 보겠다고 푸닥거리를 하거나 부적을 태우기까지 합니다.
이 또한 본인으로 살고 싶어서이겠지만, 그렇게 규정(規定)된 입장을 고집하는 업은 막상 자신과 전혀 관계없는 것이 되고 맙니다.
업이란 전혀 그렇지가 않습니다.
자신이 갖고 있는 생명력을 발휘해 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물이 흘러갈 때 깊은 골짜기를 타고 내려오고 있으면 시냇물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계곡을 따라 흐르던 물이 점차 모아지고 폭이 넓어지면 강물이라고 이릅니다. 그리고 강물로 흐르다가 한참을 내려가서 육지가 끝나는 곳에 이르고 나면, 서해(西海)라든가 남해(南海)라고 하면서 바닷물로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물이라고 하는 업은 그대로이되, 그 때마다 우리에게 다가오는 이미지가 다를 따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냇물과 강물 그리고 바닷물의 실체를 따로 인정하려고 한다면, 그야말로 우습지도 않은 시도일 것입니다.
물에 담겨있는 생명력은 무한히 흘러가는 것을 업으로 합니다.

따라서 업은 주물(鑄物)로 찍어내는 그릇과 같이 고정되지 않았음을 알아야 합니다. 다만 살아온 결과에 따르는 보(報)만은 각자마다 다른 게 당연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업보(業報)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뜻으로, 자작자수(自作自受)라든가 자업자득(自業自得)이라는 말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곧 어쩌지 못할 결정(決定)된 운명이 별도로 있다는 게 아니라, 삶의 당사자가 어떤 태도를 취하는가에 의하여 살아가게 된다는 점을 시사(示唆)합니다.
자신에게 벌어지는 일들을 감내하고 사는 것이 올바른 자세입니다.
남자나 여자로 사는 것을 어찌할 것이며, 부모와 자식 간으로 만난 인연을 어쩌란 말인가?
그런 선천적인 조건들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되, 그것이 우리 인생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 업보관(業報觀)의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따라서 ‘받을 건 받지만 그것만으로 삶이 그치는 게 아니므로 걱정하지 말라’는 부처님의 안심(安心) 법문에 귀를 기울이게 됩니다.

그러면 일상용어에서는 업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합시다.
누군가를 처음 만나 대화를 나누다 보면, ‘당신의 직업(職業)은 무엇입니까?’를 묻습니다. 심지어는 남녀 간에 맞선을 볼 때도 상대의 직업을 따지는 것은 필수사항에 속합니다.
헌데 마땅히 확실한 선을 긋기 어려운 직업이 하나 둘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답을 우물쭈물 하는 경우를 보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직업의 종류는 12,000개가 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쩌면 2만개가 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또한 국가에서 통계를 내기 위한 분류이지, 세밀하게 나누다 보면 수 만개가 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왜 그러냐하면 세상을 살아가면서 직(職)을 갖고서 업을 발휘하는 것이 직업이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기에 그렇습니다.
또 ‘어제 무슨 작업(作業)을 하셨습니까?’라고 말할 때의, 작업(作業)을 들 수 있습니다. 보통은 별 생각 없이 간단히 육체적인 노동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만, 그런 정도로나 취급되어서는 곤란합니다.
지을 작(作), 즉 ‘업을 짓는다’는 말이 작업의 본뜻입니다. 삽질을 하고 있을 때 다른 사람이 보기에 노무자로 보이든 말든, 시멘트를 비비고 있을 때 고된 작업으로 보이든 말든 아무런 상관도 없습니다. 우리 삶의 진실은 그런 상대적인 평가에 의해 좌우될 만큼 못난 게 아닙니다. 자신의 업을 짓고 사는데 이리저리 눈치보고 있을 새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본질적인 바탕도 얼마만큼 자기화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사뭇 다른 결과를 낳습니다. 똑같은 일을 하면서도, 어떻게 작업하느냐에 의해서 삶의 내용이 전혀 다르게 채워집니다. 일을 통해서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즐거워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돈 몇 푼으로 환산하기에 급급한 사람도 있습니다. 얼핏 겉보기엔 비슷한 듯하지만, 각자마다 발휘한 업의 질(質)에 있어선 전혀 다릅니다.

업은 스스로 짓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걸레질을 어쩔 수 없이 한다거나 죽지 못해 설거지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생명력으로서의 업은 본래부터 없는 것과 다름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하는 적절한 표현이 바로 실업(失業)입니다. 단순히 다니던 직장을 잃고 있는 상태를 실업이라 하는 게 아닙니다. 업의 논리 입장에서 냉철하게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자신의 업을 잃어버렸을 때가 실업이라는 본뜻을 말입니다.
그렇다면 업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말이 되는데, 그럴듯한 직장에서 월급도 많이 받고 제법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라면 예외가 될 듯도 하지만 그게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삶의 당사자인 그 사람의 속을 들여다보면, 의외로 ‘왜?’ 그리고 ‘무엇 때문에?’ 사는지에 대해서 회의(懷疑)하고 있는 사람이 많습니다. 짐짓 하루하루를 태연스레 보내는 듯하지만,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없는 사람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은 그나마 자신의 실업 상태를 감지하고 있지만, 더 많은 사람들은 아예 현실에 안주한 채 바쁜 일정에 함몰되어 있을 뿐입니다.
넓은 아파트에 살면서, 큰 차를 굴리며, 그럴듯한 직장만 갖고 있으면 생명이 보장되리라는 기대는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된 생각입니다. 그런 안정(安定)은 자신의 업을 한정시키고 있는데 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왜? 그리고 무엇을? 위해 산다는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는 면에서 볼 때, 오늘날의 사회는 자기 업을 잃고 사는 실업자(失業者) 사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기 생명을 스스로 돌보지 않는 사람의 업을 대신해 줄 사람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는 점은 엄연합니다. 어떤 사회비평가는 요즘의 현대인이 사는 모습을 가리켜, “낮에는 이리로 살고 밤에는 돼지로 산다”고 풍자합니다. 무척 듣기 거북하지만, 나름대로 일리가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오로지 닫혀 있는 자신의 이익(利益)만 보이기에, 낮에는 눈을 밝히고 서로 이리와 같이 뜯어먹고 삽니다. 그리고 밤이 되면 배를 두드리다가는 잠자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뭘 그리 부풀려서 얘기할 거까지 있냐고 할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살아야지 보람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 사회라면 이는 분명히 건강한 사회는 아닙니다.

한 번 따져봅시다.
왜 돈을 벌어야 하는지를 모릅니다. 왜 출세하는지도 모릅니다. 왜 결혼을 하는지도 모릅니다. 왜 애를 낳는지도 모릅니다. 온통 모르는 것 투성이지만, 다만 바쁘기만 합니다.
그렇다면 이를 어찌 정상적인 삶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그것은 자신의 업을 드러내며 사는 모습을 표현한 일시적인 상태이지, 그 자체가 업은 아닙니다. 운전하는 이유는 어디론가 이동하기 위함이지, 내가 남보다 잘한다거나 못한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식사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누구와 좌담하는 것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한 삶을 살아가는 업의 주인공인 본인(本人) 이외의 어느 누구도 대신할 사람은 있을 수 없습니다. 나이는 물론이요 남녀의 차이나 경제적인 처지도 상관치 않습니다.
자녀의 성적을 올리려고 부모들이 시험을 대신 치른다고 해서, 그 아이의 실력이 향상되는 게 아닙니다. 아무리 자녀가 귀여워도 자식 대신 밥 한 숟갈 대신 못 먹어 주는 게 인생의 본업입니다.
결국 본인 스스로 갖고 있는 업(業)을 무한히 내어 쓰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살아가는 유일한 의미라고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문사수법회 여여법사님 법문>



법문들으신 소감, 댓글 환영합니다~~    emoticon

1개의 댓글

Profile
지산
2010.01.22
수동적으로 꾸역꾸역 쳇바퀴를 도는 삶이 아니고 스스로 지어가는 업을 무한히 내어 널리 회향하기 위한 생명력을 적극적으로 체화하는 삶. 명사가 아니라 동사로서의 삶.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지산 합장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방송종료 : 11월 셋째주 대중법회 생방송] 11월 17일(일) 문사수 2023.02.12 8766
알량한 지식과 경험으로 생명가치를 단절하지 말라![무량수경6] 2 문사수 2010.03.07 35368
업業과 운명運命 1 문사수 2010.03.06 28392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문사수 2010.03.01 30120
죽을 때 아미타불 부르면 극락간다? [무량수경5] 1 문사수 2010.02.27 33295
놀래거나 겁내지마라 2 문사수 2010.02.24 27888
아미타불을 참 생명으로 삼아야 염불행자 [무량수경4] 1 문사수 2010.02.21 36142
법우님~, 복 많이 지으세요! 문사수 2010.02.15 24693
아, 석가모니불 1 문사수 2010.02.13 28889
바라는 만큼 채워지지 않는게 괴로움 실상 [무량수경3] 1 문사수 2010.02.13 28478
한 방울의 물에 담긴 은혜 문사수 2010.02.05 31001
생명에는 차별-구별 갖지 말아야 [무량수경2] 1 문사수 2010.01.29 36646
불자 참 생명이 부처님임을 증명하는 경 [무량수경1] 2 문사수 2010.01.21 38583
공덕功德을 지어라! 그리고 회향廻向하라! 1 문사수 2010.01.16 30082
그물코와 같은 인생 2 문사수 2010.01.11 29196
날마다 시작이고, 날마다 마지막입니다 1 문사수 2010.01.04 28503
거꾸로 기도하지 맙시다 1 문사수 2010.01.02 29901
무병장수의 비결 1 문사수 2009.12.30 31525
완전한 만남을 위하여 1 문사수 2009.12.24 30896
업業이란? 1 문사수 2009.12.19 31216
자기를 사랑한다면... 문사수 2009.12.16 28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