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주제를 알라는 말의 속뜻

문사수 2011.08.30 조회 수 27241 추천 수 0

주제를 알라는 말의 속뜻


세상살이의 속내를 들여다보게 되면, 수많은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수많은 일을 처리하는 나날들로 가득합니다. 그러다가 일이 잘 처리된다 싶으면 인연 맺은 사람이 살갑게 다가오고, 뒤틀린다 싶으면 상대방에게 섭섭해 합니다. 누군가와 함께 하는 한, 좋고 나쁨의 어떤 결과든 반드시 따르기 마련입니다.
헌데 이리저리 휘둘리는 만큼 삶의 내용이 채워지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가볍게 보아서는 곤란합니다. 누군가를 부러워하거나 자신의 우위를 한껏 뽐내며 사는 모습을 마주하지 않는다면, 그나마 자신을 파악할 근거마저 잃고 맙니다. 만나야 할 사람이든 처리해야 할 사건이든, 상대가 있을 때 비로소 자신이 드러날 계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상대가 없다고 느낄 때, 허무감(虛無感)에 사로잡히거나 심지어는 극심한 공포에 시달리기까지 하는 것은 다 이런데 기인합니다. 그것은 좋아하건 싫어하건 간에, 상대할 누군가 없이 지내는 사람들이 못 견뎌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역설적이지만 부대끼고 사는 게 그래도 살맛이 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자신을 중심에 두고 사는 한, 언제 어디서 어떤 사람을 만날지라도 끝내 그 밑변에는 비교된 상대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따라서 제아무리 기를 쓰며 모든 상대적인 조건을 갖추어서 만족된 삶을 꾸리고자 하여도, 매번 도저히 이루어질 수 없는 시도로 밝혀지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입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쫓기기만 하면서 살게 되어 있는 초라한 존재가 아닙니다. 알고 나면 얼마든지 여유롭게 행복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물론 당연히 전제(前提)는 있습니다.
조건(條件)이라고 이름 붙이기는 뭣하지만, 단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면 그만입니다. 그것은 바로,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속속들이 배인 상대적인 추구의 한계를 참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면 가능합니다.
분명한 사실이 있음을 외면하려한다는 것은 어리석음과 다르지 않습니다.
솔직히 마주해야 합니다. 아닌 것은 어떤 핑계를 들이대더라도 아니듯이, 맞는 것은 목에 칼이 들어와도 맞는 것입니다. 또한 당연히 믿은 만큼 세상을 향하여 주장하여야 함은 더할 나위도 없습니다.

우리들이 평상시 추구하는 상대적인 추구의 진정한 힘은 자신에게 말미암지 않습니다. 본래부터 스스로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태어나면서부터, 아니 태어남 그 자체마저 혼자만으로는 꿈도 꾸지 못할 사건이었습니다. 어떤 외적인 조건이 앞서 있다가 삶을 구성한 것이 아니라, 생명이 선택한 결과입니다.
그렇습니다.
자신의 본래 생명자리를 감지하는 순간부터 우리는 비로소 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내재(內在)되어 있는 참된 생명의 능력이 참으로 현실을 주도하게 됩니다. 이는 막연한 꿈이 아닙니다. 삶의 원리 자체가 그러하기에 가능합니다.
그런 자신을 미처 발견하지 못했기에 상대적인 좌절(挫折)을 맛보게 되는 것인데, 실로 이를 마주함으로써 본연의 자신이 회복됩니다.
 좌절이라고 하지만 생명의 좌절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끊임없이 일어나는 상대적인 지향에 대한 미련을 버릴 기회인 것입니다. 눈에 붙었던 비늘이 떨어져야 사물을 제대로 보듯이, 상대적이기에 허망할 수밖에 없는 기대를 접고 참된 자신을 만나게 됩니다. 
흔히 ‘네 주제(主題)를 알라’고들 합니다.
말마따나 상대적인 자신에 대해서 과대포장(過大包裝)을 하거나 혹은 과소평가하는데 바쁘다 보니, 막상 무엇이 삶의 주제인가를 잊고 사는 정황은 지적 받아 마땅합니다.

학교 교실(敎室)의 풍경을 봅시다.
선생님은 학생을 가르치고 학생은 선생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습니다.
하지만 같은 교실에 있다고 선생님과 학생이 똑같은 수준일까? 아닙니다. 학생들이 자기네를 기준으로 해서 선생님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든 말든, 그것은 선생님 자신의 동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확실히 같은 공간에 있지만 엄연히 차이는 존재합니다.
이렇게 동일(同一)과 더불어서 초월(超越)이 함께 벌어지는 접점에서 현실이 벌어집니다. 그래서 맞닥뜨리게 되는 어려움이란, 스스로의 주제를 돌아보지 않은 데서 발생하는 것임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러면 이 경험은 고스란히 참된 삶의 키워드가 됩니다.
설사 아무리 상대적으로 대단한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앞으로의 삶마저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경험의 교훈을 되새겨야 합니다.
 자신의 주제도 모르면서 자꾸만 잘나고 못난 것을 비교하고 분석하고 있는 모순(矛盾)을 마주하기만 하면 그만입니다.
모순을 모순인 줄 아는데 어떻게 더 이상 그런 상태에 머물겠습니까?
이로부터 갖가지의 조건들을 선택하는 참된 생명의 무한(無限)한 능력이 드러날 것입니다.
나무~ 아미타불!

                                                                                                                        <문사수법회 여여법사님 법문>


01013105112371225117230.jpg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방송종료 : 11월 셋째주 대중법회 생방송] 11월 17일(일) 문사수 2023.02.12 8778
주제를 알라는 말의 속뜻 문사수 2011.08.30 27241
극락세계에 태어나고자 한다면 문사수 2011.08.19 26300
빛의 주인공 문사수 2011.08.12 24494
염불念佛이 곧 성불成佛 문사수 2011.08.07 26842
부처님을 모시는 마음으로 산다면 문사수 2011.07.24 24545
행복幸福한 항복降伏_(2) 문사수 2011.07.02 38720
행복幸福한 항복降伏_(1) 문사수 2011.07.02 32051
나무南無와 자유自由 문사수 2011.06.22 24190
‘나-너’ 대립으로는 진정한 행복 못 누려 [무량수경15] 문사수 2011.06.14 27270
법을 청한다는 것은 문사수 2011.06.10 24427
괴로움의 정체 문사수 2011.06.04 27172
깨침의 의미, 믿음의 공덕 1 문사수 2011.05.25 27369
믿으십시오! 문사수 2011.05.20 29149
불법을 듣는 자세 문사수 2011.05.15 24335
오직 만족으로 오신 부처님 문사수 2011.05.04 27431
자기 위주의 자비는 독약일 뿐이다 [무량수경14] 문사수 2011.04.30 31308
불자는 만복의 주인공 문사수 2011.04.26 24202
정진으로 생명의 깃발을 올려라 1 문사수 2011.04.14 28007
불자의 용기는 어디서 나오는가? 1 문사수 2011.04.01 26467
‘南無’는 범부로 살수 없다는 참 생명 절규 [무량수경13] 2 문사수 2011.03.28 28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