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부처님일대기] 설산수도상(2)

문사수 2013.04.06 조회 수 29256 추천 수 0

5. 수행의 길
       -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2



고행苦行을 선택하다


자기를 갈고 닦아 스스로를 극대화해도, ‘나’라는 존재가 생사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체험한 싯달타는, 이제는 자기를 억누르기로 합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인도에는 육신을 괴롭혀 도(道)를 얻으려는 고행주의자(苦行主義者)가 많았습니다. 자기의 확장이 괴로움을 불러온다는 것을 안 싯달타는 그래서 이번에는 자기를 괴롭히고 억눌러서 없애려는 고행주의를 택한 것입니다.


싯달타는 극도의 고행으로 자기를 괴롭혔는데, 기록에는 뱃가죽과 등가죽이 붙을 정도였으며, 하루에 삼씨 한 톨로 견디는 정도의 철저한 수행을 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죽음을 각오하면서 고행을 하는데 자기의 내면에는 ‘나’가 더욱 또렷해질 뿐이었습니다.


이는 혹독한 시집살이를 한 며느리가 자신의 며느리에게 시집살이를 대물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고생을 할수록 고생한 자기에 대한 보상심리가 더욱 치성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재에 희생을 조장하면 반드시 미래의 댓가를 기대하게 됩니다. 만약 지금 괴로움을 택해서 미래에 행복을 보장받겠다고 한다면 이것이 바로 고행주의인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행주의로는 지금 있는 행복도 누리지 못하며, 현재의 고생에 대한 보상심리로 인하여 언제나 내일에 대한 기대치만 높아갈 따름입니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에게 행복이란 늘 내일의 일이 되어버리고, 현재는 언제나 고통으로만 다가오는 것입니다.


마침내 인도 전역에 최고의 고행주의자로 이름을 떨치던 싯달타는 고행을 포기합니다. 고행은 끝내 무의미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은 설산에서 6년을 고행했기에 부처를 이루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또한 고행주의자가 위대하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부처님이 어떤 분인지를 모르고 하는 말입니다. 고행을 했기 때문에 위대하다고 한다면 이것은 인내력 시험에 불과합니다. 결코 인내력이 생사를 해결해줄 수는 없습니다.


만약 부처님이 고행을 해서 부처가 되셨다면, 고행을 한 ‘나’가 있는 것이고, 고행해서 깨달은 ‘나’가 남게 됩니다. 이 ‘나’가 있는 한, 끝내 생사(生死)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것은 말이 부처님이고 깨달음이지, 참다운 부처님이나 깨달음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생사가 있으면 윤회(輪廻)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 자를 깨달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내가 깨닫는다는 말이나, 내 노력으로 깨달음을 이룬다는 말은 애초부터 성립되지 않습니다.<계속>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종료 : 6월, 넷째주 대중법회] 진실한 염불 - 범열 법사 문사수 2023.02.12 2854
[부처님 일대기] 도솔래의상(1) 문사수 2013.03.08 34106
부처님일대기를 시작하며... 문사수 2013.03.04 27781
염불의 패러독스 문사수 2010.10.16 24391
여래사(如來使)로 산다 문사수 2010.06.28 24483
절대자유에로의 길 [금강경6] 문사수 2010.06.28 32524
부처님의 회향 문사수 2010.07.10 23292
내가 없음으로 하는 수행 문사수 2010.07.15 24010
기도는 무한생명의 자각 문사수 2010.07.23 25597
업력의 힘을 자각하자 문사수 2010.08.03 25413
공양하고 계십니까? 문사수 2010.08.10 27104
생명해방의날 우란분재 문사수 2010.08.13 24572
자신이 싫어질 때 문사수 2010.08.20 27384
삶의 중심에 계신 부처님 문사수 2010.08.27 23414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것 문사수 2010.09.04 23693
초심자의 마음으로 산다 문사수 2010.09.10 29696
지옥무한 문사수 2010.09.18 24012
상이 상 아님을 보면 문사수 2010.09.25 23808
참답게 불교에 입문한 사람 문사수 2010.10.06 26131
[대중법문] 날마다 태어나는 삶 문사수 2011.02.10 23976
독기 품고 겉으로 참는 것은 거짓된 치장 [무량수경9] 문사수 2011.02.19 27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