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부처님이시어, 시험에 들게 하여주소서

문사수 2012.01.24 조회 수 27162 추천 수 0

부처님이시어, 시험에 들게 하여주소서

번뇌(煩惱)하십시오.
올해도 참으로 열심히 번뇌하십시오.
지금까지 살아온 그 어느 해보다 더 번뇌하십시오.
악담(惡談)을 하거나 비웃으려 함이 아닙니다. 번뇌는 부모가 주는 것도, 친척이 강요하는 것도, 직장의 동료가 건네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번뇌를 한마디로 이르자면, 자신을 중심(中心)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받아들이고 있는 독특한 현실감각(現實感覺)이기에 하는 말입니다.

번뇌는 오로지 나의 몫입니다.
나의 몫이란 스스로가 선택(選擇)했다는 뜻이므로, 선택한 번뇌를 스스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만약 바깥에서 온 번뇌라면 도저히 내가 해결할 수가 없습니다. 비록 바깥의 번뇌라고 여겨질지라도, 그것을 받아들인 사람에게는 자신의 번뇌에 지나지 않습니다. 바꿔 말해서 번뇌하고 있는, 보다 정확히 표현해서 번뇌를 받아들인 사람이라면, 그것을 풀 수 있는 능력 또한 갖고 있기에 받아들였을 따름입니다.
중3학생이 보는 시험에는 중3의 수준에 걸맞는 문제가 나옵니다. 초등학교나 고등학교 수준의 문제가 나오지 않습니다. 만약에 초등학교 1학년 수준의 시험문제를 풀고 100점을 맞았다고 해도, 그 100점은 결코 명예스러운 게 아닙니다. 제 수준에 따른 결과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자기 수준에 맞는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過程)이 결코 만만한 게 아닙니다. 괴로움의 연속입니다. 그러다보니
“시험(試驗)에 들지 말게 해주소서”
하며 기도하는 사람이 하나 둘에 그치질 않습니다. 헌데 누가 억지로 시험에 들게 했을까요? 학교에 재학(在學)하고 있는 한, 시험을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 하는 가치판단(價値判斷)을 떠나서 그것은 자신의 선택일 뿐입니다. 이런 자발적(?)인 동기(動機)를 감안해서 선생님이 문제를 내고, 학생은 제 수준에 맞는 시험을 보는 게 아니겠습니까?

사실 부처님 가르침의 특징을 한마디로 이르자면, 번뇌 속에서 깨달음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번뇌를 떠난 깨달음을 구하거나, 번뇌한 후(後)에 깨달음을 얻는 게 아닙니다. 번뇌가 일어난 그곳에서, 그때마다 해결의 실마리를 찾음이 그 핵심(核心)입니다. 왜 그러한가? 번뇌를 받아들인 사람과 번뇌를 해결할 사람이 동일인(同一人)이기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누군가가 대신(代身)해서 번뇌를 해결해 주었으면 하고 바라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소비자의 수요욕구를 충족시키는 생산자가 있기 마련입니다. 해결사를 자처(自處)하는 종교업자(宗敎業者)가 바로 그들입니다. 그들은 감히 약속을 합니다. 번뇌를 삶의 영역에서 멀찌감치 떨어뜨려 특별(特別)히 만들어 놓고는, 그 번뇌를 해결해 줄 특별한 비방(秘方)을 이야기합니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그들에게 번뇌를 해결해 달라는 태도(態度)는 초점을 잘못 맞춰도 한참 잘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들에게 그런 능력(能力)이 있고 없음을 따질 만큼 한가하지 않기에, 단 한 가지만을 지적하고자 합니다. 삶의 주인공은 엄연히 지금 번뇌하고 있는 우리 자신이라는 사실을 직시(直視)하자는 것입니다.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을 구도자(求道者)라고 하지 않습니까?
맞습니다. 구도자는 특별한 사람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번뇌를 자기화(自己化)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 또는 그녀의 나이나 신분과 같은 상대적(相對的)인 입장을 앞세울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누구나 구도자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모두는 번뇌를 안고 사는 사람들입니다. 번뇌를 떠나려고 하지 맙시다. 번뇌를 안고 살자고 작정합시다. 아예 번뇌를 옆에 끼고 사는 그런 구도자로 삽시다. 고생을 해보지 않은 사람이 어찌 그 고생한 끝에 먹는 꿀맛 같은 밥 한 공기의 참된 감사를 알겠습니까?

법우님, 지금도 번뇌 속에 사십니까? 현실이 암담합니까?
암담한 번뇌 속에 난 찌들어서 박복하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다면, 가만히 자신을 들여다보십시오.
“어쩌다가 내가 사람을 잘못 만나서…”
“전생(前生)에 죄를 많이 지어서…”
하는 식의 신세한탄을 심심치 않게 듣습니다. 허나 그런 딱한 신세보다 언제나 앞서는 게 있습니다. 그것은 삶의 모든 것은 자신의 선택(選擇)이라는 사실입니다. 죄(罪)를 지어서가 아닙니다. 운(運)이 나쁜 게 아닙니다.
시험문제가 내 앞에 출제된 것은, 나의 능력수준에 따른 결과일 뿐입니다. 세상의 어떤 문제라도 나에게 보이고 들린다는 것은, 그것이야말로 나의 삶이라는 말과 다르지 않습니다. 지금 해결하지 못한다면, 솔직하고도 정확하게 말하자면, 내생(來生)까지 따라올 내 몫이기에 나에게 지금 나타나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하루 중에서 가장 어두운 때가 해뜨기 바로 직전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그와 같이 ‘지금 내 처지가 너무나 어둡다’고 한다면, 이제 남은 건 단 하나밖에 없습니다. 날마다, 달마다, 해마다 밝아질 것 밖에 없습니다.
진짜 어두운가요?
그렇다면 됐다 이겁니다. 더구나 내 자신만 번뇌하는 게 아니라 모든 몸 가진 자는 다 번뇌하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번뇌한다는 게, 좋고 나쁨의 차원에서 판단할 수 없음도 알았습니다. 이 몸을 선택한 것은 나의 참생명이듯이, 현실을 선택한 것도 나의 참생명입니다. 그러므로 해결할 사람 또한 나입니다.
이런 당연한 진실을 삶의 원리로 받아들이기 위하여 우리는 정진(精進)합니다.
익숙한 습(習)의 연장선상에서는 진정한 내가 되지 못한다는 모순(矛盾). 그 모순에서 말미암은 번뇌에 눈감는 것이 아니라, 두 눈 부릅뜨고 숨겨진 삶의 진실이 드러나도록 염불(念佛)합니다.

이제 사실(事實) 그대로를 살아갑시다.
번뇌는 깨달음의 반대말이 아니라, 알고 보니 내가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징후입니다. 번뇌가 일어날 때마다, 무한광명(無限光明)이 드러날 전조(前兆)로서 어둠이 온 것입니다. 그러니 번뇌의 주인공이요, 뒤집어서 얘기하면 깨달음의 주인공으로서 새삼스레 할 게 아무 것도 없습니다.
“부처님이시어! 시험(試驗)에 들지 않게 하지 마시고, 언제 어느 곳에서나 시험에 들어, 번뇌(煩惱)의 무한함 속에서 깨달음의 무한함이 이루어지이다”
하며 발원할 따름입니다.
그렇습니다. 이렇게 넉넉한 마음을 항상 간직하면서, 다만 번뇌에 나무(南無)하기밖에 더 있겠습니까?

                                                                                                <문사수법회 여여법사님 법문>

 

1개의 댓글

Profile
법문듣는 이 기쁨!
2012.01.25
이 힘든 현실을 내가 선택했다는 말씀은 참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내가 그렇게 어리석다니!
그러나 번뇌 즉 보리라, 번뇌가 없다면 깨달음에 대한 갈구가 있을까요?
오히려 구도심을 일으키게 되니 감사합니다.
번뇌로 다가오는 모든 인연들은 선지식,
법문 잘 듣겠습니다.
새해 아침,
올해도 법문들으며 부처님께 감사드리며,
열심히 살겠습니다.
나무아미타불!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방송종료 : 11월 첫째주 대중법회] 불교 조각예술에서 듣는 경전의 세계 - 정신 법사 문사수 2023.02.12 8585
참다운 수행 문사수 2012.03.23 27155
‘운수행각(雲水行脚)하라!’ 문사수 2012.03.13 27249
병든이에게 어진 의원이 된다는 것은 문사수 2012.03.01 24464
천백억 화신千百億化身의 진리 문사수 2012.02.22 28424
인욕은 보시바라밀 문사수 2012.02.14 34178
왜 법회法會인가? 2 문사수 2012.02.06 31416
부처님이시어, 시험에 들게 하여주소서 1 문사수 2012.01.24 27162
법문을 듣는다는 것 문사수 2012.01.14 24508
아침에도 아미타불, 저녁에도 아미타불 문사수 2011.12.26 25387
진정한 행복이란? 문사수 2011.12.19 25924
전법하여 부처님생명 성취합시다 문사수 2011.12.09 24743
마음의 병 문사수 2011.12.03 25191
가피의 뜻 문사수 2011.11.22 59118
차별해야 할 중생은 없다 문사수 2011.11.13 27394
마음을 따르는 현실 문사수 2011.11.01 31886
우리가 사바세계에 온 이유 문사수 2011.10.20 27309
아, 그러나 당신은 행복한 사람 문사수 2011.10.09 33671
조건이 없는 청정한 수행(법장비구의 36번째 원) 문사수 2011.09.28 29982
아는 만큼 보이는 세계(법장비구 31번째 원) 문사수 2011.09.17 28077
보현행원품 문사수 2011.09.10 26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