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시아문
 

[중앙] 2016년 12월 25일 송년법회 법문_ '님만 님이 아니라 긔룬 것은 다 님이다'

미락 2016.12.30 조회 수 10631 추천 수 0

여시아문_ 성산 오종만


이와같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또 한 해가 훌쩍 지나 간다.

송년법회에서 여여법사님의 법문은 내 속에 항상 머물고 있었으나 자주 깜빡 잊곤 하는 나의 무한 능력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 이었다.

무가보주(無價寶珠)는 법화경에 나오는 말로...

죽마고우였던 두 친구가 오랜 세월이 지난 후 만났을 때, 성공한 친구가 거지로 살고 있는 친구를 위해 친구의 옷 안쪽에 보석을 넣고 잃어 버리지 않도록 바느질을 해 놓았는데 인사없이 헤어지는 바람에 보석을 어디에 두었는지 말해 주지 못했다.

긴 세월 동안 그 친구는 가난하게 살면서도 옷 속에 보석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보석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좀 더 편하게 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게 힘들게 살아 가다가 오랜만에 다시 만난 두 사람은 그 친구가 항상 보석을 품에 지니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무가보주란  ‘값을 매길 수 없는, 무한한 가치를 지닌 보석’을 늘 지니고 있다는 의미로, 자신이 지닌 가치를 모르면 사용할 수 없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생명은 무한대 - 그 자체를 생명이라 한다.

삶이란 우리 앞에 이미 무한하게 펼쳐져 있는 길을 따라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우리의 원은 이미 성취되어 있다. 

성취된 원의 주인공이 나라는 것을 잊지 말고 내 안의 간직하고 있는 보주를 항상 생각하며 영광된 삶의 주인공으로 살아 갑시다.

다가올 정유년에 펼쳐 질 삶의 그림은 커다랗고 하얀 백지위에 나의 생각대로, 내가 그리는 대로, 내가 만들어 간다는 두근거리고 설레이는  마음으로 새해를 맞이 합시다.

나무아미타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여시아문 게시판에 대하여... 문사수 2010.04.19 136273
473 사바세계에서 벗어나는 길 문사수1 2021.03.13 296
472 염불의 씨앗을 심자!_(2020.08.09_회주님 영상법문) - 월행법우 2 문사수1 2020.08.14 299
471 모든 것을 잃어도, 잃지 않을 한 가지! 2 문사수1 2020.12.26 300
470 발 밑을 비춰본다면 궁즉통(窮則通)하리(2019.12.22_여여법사님 법문) - 세산법우 1 문사수 2019.12.27 302
469 귀하게 태어나, 천하게 살아간다면.. 1 곽승현 2020.10.23 302
468 괴로움에서 벗어나는길 다만 오직 나무아미타불! 1 보리수 2020.08.04 310
467 비상한 사람이 있어야, 비상한 일이 일어난다 1 나무나무 2020.06.23 321
466 아버지와 나무아미타불 5 한눈에쏙 2020.09.03 324
465 염불합시다! (2020.7.12 한탑스님 영상 법문) 1 능명 2020.07.17 325
464 우리가 무상(無常)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_(2020.07.05_정신법사님 법문) - 지종법우 1 문사수1 2020.07.10 326
463 구름과 달, 그리고 봄(20019.02.03_정신법사님 법문)-미등법우님 문사수 2019.02.07 328
462 나의 참생명 부처님생명! 2 산들바람 2021.08.09 329
461 그대는 참으로 간절한가! 1 성심 2020.05.22 332
460 믿으면 바로 성취되는 진실(2019.06.09_명성법사님 법문) - 연실 법우님 문사수 2019.06.17 342
459 누구와 무엇으로 만나는가? (2019.09.22_범정법사님 법문) - 연덕법우 문사수 2019.10.04 345
458 믿고 따르니 그대로 신통이라!(2019.01.27_ 범정법사님 법문)-보념법우님 문사수 2019.02.07 348
457 마음 항복받기_영상법문(2020.1.12_회주님 법문) 산들바람 2020.01.14 353
456 옛날이 지금이라! (2020.01.19_여여법사님 법문) - 능도 법우 1 문사수 2020.02.06 354
455 살림을 일구는 세가지 마음(2020.06.28 범정법사님 법문) 수산올림 1 한눈에쏙 2020.07.03 356
454 일상의, 일상에 의한, 일상을 위한 정진 (2019.10.27_범정법사님 법문) - 화행법우 문사수 2019.11.03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