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부처님일대기] 유성출가상(3)

문사수 2013.03.31 조회 수 27694 추천 수 0

4. 출가(出家)의 진정한 의미
   
 -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3


출가할 수밖에 없는 이유


집 속에서 벌어지는 것은 생사(生死) 밖에 없습니다.


부처님은 세상을 등지기 위해서 출가하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상을 사랑하기 때문에 죽고 사는 문제를 해결코자 출가하신 것입니다.


역설적이게도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길을 세상의 익숙함 속에서는 찾을 수 없습니다. 돈을 아무리 벌어도, 아무리 출세를 해도, 생사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진정으로 내가 왜 태어났으며, 내가 산다는 것이 무엇이며, 내가 가야 될 곳이 어디인가를 아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따라서 이렇게만 살 수는 없다고 절박하게 느끼는 사람이 출가를 하는 것입니다. 성별(性別)이라든지 나이에 관계없이, 또한 직업이나 지위에 관계없이 ‘이렇게 앉아서 죽을 수는 없다’고 느끼는 사람은 지금 바로 출가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잊어버리게 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물질적인 풍요로움, 사랑하는 가족들, 지금까지 나를 유지해 주었던 지위나 명예 등… 싯달타도 아들 라훌라를 놓고 가는 심정이 편하지만은 않았을 것입니다. 아버지와 부인의 절규를 뿌리치기 또한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밤에 성을 넘어 출가를 하셨다는 것이 이를 말해주고도 남습니다. 하지만 이들 모두의 진정한 행복을 위하여 출가하신 것입니다. 라훌라에게 많은 재산과 부강한 나라를 남겨주는 것보다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훗날 라훌라는 부처님의 10대 제자가 됩니다. 부처님의 아들이어서가 아닙니다. 가족이 진정으로 행복하게 살려면 도반(道伴)으로 만나야 합니다. 그러지 않고 내 남편이나 내 아내, 내 아들이나 내 딸로만 만나다보니 나의 소유물로 착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아무리 가족이라고 해도 이들이 언제나 내 뜻대로 움직여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내 기준의 테두리 속에서는 진정한 행복이 자리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남편, 나의 아내, 나의 아들, 나의 딸로서가 아니라 무엇으로도 한정지을 수 없는 생명 그 자체로 서로를 대해야 합니다. 그래야 서로 구속되지 않습니다. 진정으로 가족을 사랑한다면 출가한 입장에서 서로를 만나야 하는 것입니다.


‘한 사람이 출가하면 구족이 하늘나라에 난다[一人出家 九族生天]’는 말이 있습니다. 엄마로서의 내가 출가하면 아이들이 자유로워집니다. 아들이 출가하니 부모가 자유로워집니다. 진정 나로부터이어야 합니다.


출가는 사찰이라는 특정한 공간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살고 있는 어디에서건 나고 죽는 문제는 늘 일어나고 있으며, 또한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출가는 한번으로 끝나는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쉼 없는 진행형일 수밖에 없습니다.


정반왕의 입장에서는 싯달타의 출가가 가출로 생각되었을 것입니다만, 부처님의 깨달음은 분명 구도심(求道心)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출가에서부터 비롯됩니다.


우리에게도 싯달타와 같은 구도심이 있습니다. 구도심은 특별한 사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이를 망설임 없이 드러낼 줄 알아야 합니다.


싯달타의 유성출가(踰城出家), 싯달타는 현실을 부정하거나 외면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껴안은 것입니다.[끝]

[부처님일대기 다섯번째, 수행의 길 -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이 이어집니다.]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종료 : 6월, 넷째주 대중법회] 진실한 염불 - 범열 법사 문사수 2023.02.12 2854
[부처님 일대기] 도솔래의상(1) 문사수 2013.03.08 34106
부처님일대기를 시작하며... 문사수 2013.03.04 27781
염불의 패러독스 문사수 2010.10.16 24391
여래사(如來使)로 산다 문사수 2010.06.28 24483
절대자유에로의 길 [금강경6] 문사수 2010.06.28 32524
부처님의 회향 문사수 2010.07.10 23292
내가 없음으로 하는 수행 문사수 2010.07.15 24010
기도는 무한생명의 자각 문사수 2010.07.23 25597
업력의 힘을 자각하자 문사수 2010.08.03 25413
공양하고 계십니까? 문사수 2010.08.10 27104
생명해방의날 우란분재 문사수 2010.08.13 24572
자신이 싫어질 때 문사수 2010.08.20 27384
삶의 중심에 계신 부처님 문사수 2010.08.27 23414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것 문사수 2010.09.04 23693
초심자의 마음으로 산다 문사수 2010.09.10 29696
지옥무한 문사수 2010.09.18 24012
상이 상 아님을 보면 문사수 2010.09.25 23808
참답게 불교에 입문한 사람 문사수 2010.10.06 26131
[대중법문] 날마다 태어나는 삶 문사수 2011.02.10 23976
독기 품고 겉으로 참는 것은 거짓된 치장 [무량수경9] 문사수 2011.02.19 27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