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부처님일대기] 유성출가상(1)

문사수 2013.03.30 조회 수 27641 추천 수 0

4. 출가(出家)의 진정한 의미
    -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1


 
 구도자의 모습을 본 싯달타는 아버지인 정반왕에게 출가하여 수도자가 되겠다는 결심을 말씀드린다. 그렇지만 이웃의 큰 세력에게 압박을 받고 있던 정반왕으로서는 아들이 통일된 커다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바랐기 때문에 출가를 허락하지 않는다.
  싯달타는 아버지에게 죽지 않는 길을 가르쳐 달라고 간청하며, 그 소원만 이룰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노라고 말한다. 그러나 정반왕도 이 말에는 어찌하지 못하자, 싯달타는 이때 이미 출가를 결심하고는 밤이 되자 담을 넘어서 출가한다.

 


출가의 배경


 궁중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던 싯달타는 성 밖 나들이를 통해서 알게 된 생로병사의 참혹한 모습과 구도자의 평안한 모습을 본 후 깊은 고민에 빠집니다. 그러다 결국 출가를 결심하고 아버지께 말씀드립니다. 그 때의 나이가 29세라고 합니다.
 
 출가에 있어서 가장 큰 벽은 아버지 정반왕입니다. 정반왕은 더 많은 세간의 쾌락을 아들에게 제공하며 곁에 두려고 합니다. 또 자식으로서 부모를 봉양하고, 후사를 두어 대(代)를 이을 것과 한 여인에 대한 남편의 도리를 내세워 출가를 반대합니다. 아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헤아리지 않고 부자간의 정(情)과 국왕으로서 태자에 대한 기대심을 내세우는 정반왕은 심한 상실감과 배신감으로 몹시 괴로워합니다.
 
 출가를 반대하는 아버지를 향해 싯달타는 묻습니다.

  “만약 아버지께서 영원히 죽지 않는 길을 제게 가르쳐 주신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죽지 않는 길을 가르쳐 주십시오.”

  아내, 자식, 부모, 명예, 재물, 학식 등 자기가 원하는 사회적 조건이 충족된 후에 참다운 인생을 찾겠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보편적인 인생관일 것입니다. 그러나 늘 ‘더욱 더…’를 요구하며 목표점은 그 다음을 향해 상향조정됩니다. 그 사이 죽음은 항상 우리를 노리고 있다가 언제 찾아올지 예고하지 않고 별안간 찾아옵니다.
 
 싯달타는 이처럼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죽음에 대해 두려워하고만 있을 수 없었습니다. 아버지를 위해, 아내를 위해, 아들을 위해, 죽음의 두려움에 떨고 있는 세상의 모든 생명들을 위해 영원히 죽지 않는 길을 찾아 출가를 결행합니다.<계속>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6월, 첫주 대중법회] 인생은 한바탕 연극이라는데.. 그 제목은? - 정신 법사 U 문사수 2023.02.12 2668
먼저 베풀고 볼 일이다 문사수 2016.12.30 10448
우리가 문(聞) 사(思) 수(修) 해야 하는 이유는... 문사수 2017.01.12 10972
나와 세상의 관계 문사수 2017.01.24 10993
오유지족의 날, 입춘 법문 문사수 2017.02.15 11120
부처님의 자비로운 원력의 소리 문사수 2017.03.04 10106
인내忍耐, 공덕의 근본 문사수 2017.03.23 9989
날마다 부처님은 오신다 문사수 2017.04.22 9835
왕생(往生)의 순간은 언제인가? 문사수 2017.05.26 9186
[부처님일대기] 쌍림열반상(1) 문사수 2013.04.26 30193
참으로 복된 인생을 살고 싶다면... 문사수 2017.07.23 9296
삶에는 만족의 원리만이 있다 문사수 2017.09.05 7752
생사해탈生死解脫의길 문사수 2017.10.11 7794
'대세지보살 염불원통장' 전자책으로 보기 2 문사수 2020.03.15 771
생사해탈生死解脫의 길 문사수 2019.12.04 528
현재진행형으로 사는 보살(菩薩) 문사수 2020.01.23 368
'금강경' 전자책으로 보기 3 문사수 2020.03.15 1239
'아미타경' 전자책으로 보기 2 문사수 2020.03.15 748
[영상법문] 문사수 경전학당 '왜, 관세음보살인가' 제4강 _(15분듣기) 1 문사수 2020.04.23 496
[영상법문] 불교는 정진의 종교다! 문사수1 2020.06.06 800
[영상법문] 불교는 염불이다! 3 문사수 2020.04.25 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