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부처님일대기] 유성출가상(1)

문사수 2013.03.30 조회 수 27642 추천 수 0

4. 출가(出家)의 진정한 의미
    -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1


 
 구도자의 모습을 본 싯달타는 아버지인 정반왕에게 출가하여 수도자가 되겠다는 결심을 말씀드린다. 그렇지만 이웃의 큰 세력에게 압박을 받고 있던 정반왕으로서는 아들이 통일된 커다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바랐기 때문에 출가를 허락하지 않는다.
  싯달타는 아버지에게 죽지 않는 길을 가르쳐 달라고 간청하며, 그 소원만 이룰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노라고 말한다. 그러나 정반왕도 이 말에는 어찌하지 못하자, 싯달타는 이때 이미 출가를 결심하고는 밤이 되자 담을 넘어서 출가한다.

 


출가의 배경


 궁중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던 싯달타는 성 밖 나들이를 통해서 알게 된 생로병사의 참혹한 모습과 구도자의 평안한 모습을 본 후 깊은 고민에 빠집니다. 그러다 결국 출가를 결심하고 아버지께 말씀드립니다. 그 때의 나이가 29세라고 합니다.
 
 출가에 있어서 가장 큰 벽은 아버지 정반왕입니다. 정반왕은 더 많은 세간의 쾌락을 아들에게 제공하며 곁에 두려고 합니다. 또 자식으로서 부모를 봉양하고, 후사를 두어 대(代)를 이을 것과 한 여인에 대한 남편의 도리를 내세워 출가를 반대합니다. 아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헤아리지 않고 부자간의 정(情)과 국왕으로서 태자에 대한 기대심을 내세우는 정반왕은 심한 상실감과 배신감으로 몹시 괴로워합니다.
 
 출가를 반대하는 아버지를 향해 싯달타는 묻습니다.

  “만약 아버지께서 영원히 죽지 않는 길을 제게 가르쳐 주신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죽지 않는 길을 가르쳐 주십시오.”

  아내, 자식, 부모, 명예, 재물, 학식 등 자기가 원하는 사회적 조건이 충족된 후에 참다운 인생을 찾겠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보편적인 인생관일 것입니다. 그러나 늘 ‘더욱 더…’를 요구하며 목표점은 그 다음을 향해 상향조정됩니다. 그 사이 죽음은 항상 우리를 노리고 있다가 언제 찾아올지 예고하지 않고 별안간 찾아옵니다.
 
 싯달타는 이처럼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죽음에 대해 두려워하고만 있을 수 없었습니다. 아버지를 위해, 아내를 위해, 아들을 위해, 죽음의 두려움에 떨고 있는 세상의 모든 생명들을 위해 영원히 죽지 않는 길을 찾아 출가를 결행합니다.<계속>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종료 : 6월, 셋째주 대중법회] 미래는 기대인데, 지금은 기적이다! - 여여 법사 문사수 2023.02.12 2786
진리의 제 1법칙, 제행무상_(2) 문사수 2014.04.28 23407
삶의 중심에 계신 부처님 문사수 2010.08.27 23414
일호지간(一呼之間)에 산다 문사수 2014.04.07 23441
다섯 가지 종류의 법사 문사수 2010.11.11 23463
무진장으로 산다 문사수 2010.12.31 23637
마음따라 펼쳐지는 드라마 문사수 2010.04.15 23645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것 문사수 2010.09.04 23693
불난 집에서 나온 뒤에 다시 들어가는 이유 문사수 2014.03.11 23744
상이 상 아님을 보면 문사수 2010.09.25 23808
나무南無로 산다 문사수 2012.04.09 23884
본대로 들은대로 살아갈 뿐 문사수 2010.05.30 23936
[대중법문] 날마다 태어나는 삶 문사수 2011.02.10 23976
내가 없음으로 하는 수행 문사수 2010.07.15 24010
지옥무한 문사수 2010.09.18 24012
불자는 만복의 주인공 문사수 2011.04.26 24024
무한공급이 이루어지는 세계 문사수 2010.03.25 24120
나무南無와 자유自由 문사수 2011.06.22 24140
내가 바뀌면 세상이 바뀜을 아는가? 문사수 2011.02.02 24150
살림살이의 법칙 문사수 2012.12.11 24182
경계를 부르니, 경계가 펼쳐진다 1 문사수 2014.07.08 24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