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부처님일대기] 유성출가상(1)

문사수 2013.03.30 조회 수 27642 추천 수 0

4. 출가(出家)의 진정한 의미
    -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1


 
 구도자의 모습을 본 싯달타는 아버지인 정반왕에게 출가하여 수도자가 되겠다는 결심을 말씀드린다. 그렇지만 이웃의 큰 세력에게 압박을 받고 있던 정반왕으로서는 아들이 통일된 커다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바랐기 때문에 출가를 허락하지 않는다.
  싯달타는 아버지에게 죽지 않는 길을 가르쳐 달라고 간청하며, 그 소원만 이룰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노라고 말한다. 그러나 정반왕도 이 말에는 어찌하지 못하자, 싯달타는 이때 이미 출가를 결심하고는 밤이 되자 담을 넘어서 출가한다.

 


출가의 배경


 궁중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던 싯달타는 성 밖 나들이를 통해서 알게 된 생로병사의 참혹한 모습과 구도자의 평안한 모습을 본 후 깊은 고민에 빠집니다. 그러다 결국 출가를 결심하고 아버지께 말씀드립니다. 그 때의 나이가 29세라고 합니다.
 
 출가에 있어서 가장 큰 벽은 아버지 정반왕입니다. 정반왕은 더 많은 세간의 쾌락을 아들에게 제공하며 곁에 두려고 합니다. 또 자식으로서 부모를 봉양하고, 후사를 두어 대(代)를 이을 것과 한 여인에 대한 남편의 도리를 내세워 출가를 반대합니다. 아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헤아리지 않고 부자간의 정(情)과 국왕으로서 태자에 대한 기대심을 내세우는 정반왕은 심한 상실감과 배신감으로 몹시 괴로워합니다.
 
 출가를 반대하는 아버지를 향해 싯달타는 묻습니다.

  “만약 아버지께서 영원히 죽지 않는 길을 제게 가르쳐 주신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죽지 않는 길을 가르쳐 주십시오.”

  아내, 자식, 부모, 명예, 재물, 학식 등 자기가 원하는 사회적 조건이 충족된 후에 참다운 인생을 찾겠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보편적인 인생관일 것입니다. 그러나 늘 ‘더욱 더…’를 요구하며 목표점은 그 다음을 향해 상향조정됩니다. 그 사이 죽음은 항상 우리를 노리고 있다가 언제 찾아올지 예고하지 않고 별안간 찾아옵니다.
 
 싯달타는 이처럼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죽음에 대해 두려워하고만 있을 수 없었습니다. 아버지를 위해, 아내를 위해, 아들을 위해, 죽음의 두려움에 떨고 있는 세상의 모든 생명들을 위해 영원히 죽지 않는 길을 찾아 출가를 결행합니다.<계속>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종료 : 6월, 셋째주 대중법회] 미래는 기대인데, 지금은 기적이다! - 여여 법사 문사수 2023.02.12 2786
[부처님 일대기] 도솔래의상(1) 문사수 2013.03.08 34105
부처님일대기를 시작하며... 문사수 2013.03.04 27779
염불의 패러독스 문사수 2010.10.16 24391
여래사(如來使)로 산다 문사수 2010.06.28 24483
절대자유에로의 길 [금강경6] 문사수 2010.06.28 32523
부처님의 회향 문사수 2010.07.10 23292
내가 없음으로 하는 수행 문사수 2010.07.15 24010
기도는 무한생명의 자각 문사수 2010.07.23 25597
업력의 힘을 자각하자 문사수 2010.08.03 25413
공양하고 계십니까? 문사수 2010.08.10 27104
생명해방의날 우란분재 문사수 2010.08.13 24572
자신이 싫어질 때 문사수 2010.08.20 27384
삶의 중심에 계신 부처님 문사수 2010.08.27 23414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것 문사수 2010.09.04 23693
초심자의 마음으로 산다 문사수 2010.09.10 29696
지옥무한 문사수 2010.09.18 24012
상이 상 아님을 보면 문사수 2010.09.25 23808
참답게 불교에 입문한 사람 문사수 2010.10.06 26130
[대중법문] 날마다 태어나는 삶 문사수 2011.02.10 23976
독기 품고 겉으로 참는 것은 거짓된 치장 [무량수경9] 문사수 2011.02.19 27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