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듣기
 

[부처님 일대기] 도솔래의상(2)

문사수 2013.03.08 조회 수 28923 추천 수 0
1.부처님의 전생(前生) -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2 



중생제도의 원(願)

생명은 드러나는 현상을 통해서 생명의 완전함을 증명하게 됩니다. 상대적인 여러 현상들을 대하지 않고서는 생명의 절대성이 증명될 수 없습니다.

중생제도의 원(願)을 세운다는 것은 상대(相對)인 중생을 통해서 절대(絶對)인 부처님을 만나겠다는 것입니다. 절대적 존재가 절대적 광명을 만나려니 상대적 조건이 필요한 것입니다.

상대를 통해서 자신의 부처님생명을 만나지 않는 한 그 삶은 의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때 필요한 상대는 항상 내 뜻에 동의하며 내 뜻에 맞춰주는 존재가 아닙니다. 세간에 ‘입 속의 혀’라는 말이 있습니다. 내 뜻에 잘 부합하는 사람을 빗대어 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그 혀도 가끔 씹힐 때가 있습니다. 하물며 그 외의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심지어는 자기 자신조차 싫어질 때도 있습니다. 바로 이처럼 내 뜻에 거스르는 사람과 못마땅한 상황이 필요한 것입니다.

내 생명이 완전한 생명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경계(境界)가 필요하며, 그 경계를 통해서 나의 참생명인 부처님생명을 만나게 됩니다. 경계에는 역경계(逆境界)와 순경계(順境界)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좋고 나쁨의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렇게 판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런 경계를 만나지 않으면 자신의 실체를 모릅니다.

우리는 많은 사람들을 다양한 관계 속에서 만나게 됩니다. 만나서 그 생명을 부처로 대해야 내가 부처가 되는 것입니다. 지금 내가 만나는 사람이 도둑이면 나는 도둑의 삶을 살고 있고, 부처의 모습으로 다가온다면 나는 부처로 살고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내가 만나고 있는 사람이 나에게 어떤 모습으로 보여지느냐 하는 것이 그대로 내 생명의 모습입니다. 우리에게 남이란 없습니다. 모두 나의 일입니다. 따라서 내가 밝아지기 위해서는 네가 필요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중생은 본래 없다고 말씀하십니다. 본래 중생은 없고, 다만 스스로 중생이라고 착각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구해야 될 중생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계속>

 

0개의 댓글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대중법문] [종료 : 6월, 둘째주 대중법회] 노력하는 것이 인생입니다 - 명성 법사 문사수 2023.02.12 2736
마음을 따르는 현실 문사수 2011.11.01 31749
차별해야 할 중생은 없다 문사수 2011.11.13 27281
가피의 뜻 문사수 2011.11.22 58973
마음의 병 문사수 2011.12.03 25065
전법하여 부처님생명 성취합시다 문사수 2011.12.09 24645
진정한 행복이란? 문사수 2011.12.19 25798
아침에도 아미타불, 저녁에도 아미타불 문사수 2011.12.26 25311
법문을 듣는다는 것 문사수 2012.01.14 24415
인욕은 보시바라밀 문사수 2012.02.14 33370
천백억 화신千百億化身의 진리 문사수 2012.02.22 28220
병든이에게 어진 의원이 된다는 것은 문사수 2012.03.01 24402
‘운수행각(雲水行脚)하라!’ 문사수 2012.03.13 27198
참다운 수행 문사수 2012.03.23 26391
부처님을 모시는 마음으로 산다면 문사수 2012.03.26 24568
나무南無로 산다 문사수 2012.04.09 23884
인생이란 출가인의 놀이터 문사수 2012.04.21 24765
설법을 청하는 것은 문사수 2012.05.06 24384
아는 만큼 보이는 세계 문사수 2012.05.18 26732
본래없는 어둠이기에 문사수 2012.06.11 24924
가장 허황된 망상, 분별심分別心 문사수 2012.06.22 31422